최근 서울 시내 원룸 평균 월세가 80만 원을 넘어섰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청년 주거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고정 수입이 불안정한 취업 준비생과 사회 초년생들에게 이 같은 임대료 수준은 사실상 독립 생활이 불가능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서울 원룸 평균 월세 82.4만 원…2년 새 13% 상승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서울 지역 원룸 평균 월세는 보증금 1000만 원 기준 82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같은 기간보다 약 13% 상승한 수치다.
특히 마포구, 광진구, 동작구 등 대학가와 1인 가구 밀집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직방 관계자는 “전세 수요 감소로 월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고, 자산가 중심의 수익형 부동산 투자가 증가하면서 소형주택 임대료가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세 80만 원 내고 살아야 하는 20대, 30대
청년층 사이에선 “독립은 선택이 아니라 사치”라는 말까지 나온다.
서울에 거주 중인 29세 직장인 김모 씨는 “세전 월급이 230만 원인데 월세로만 75만 원을 내고 있다”며 “저축은 엄두도 못 낸다. 부모 지원 없으면 살아갈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구원이 2024년 실시한 조사에서도 20~34세 청년의 51.8%가 ‘주거비 부담으로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응답했다.
특히 비정규직 청년, 프리랜서, 1인 자영업자 등 고정수입이 불안정한 계층일수록 주거 불안이 더 심각한 수준이다.
월세 지원 확대됐지만 체감은 낮아
정부는 월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청년 월세 특별지원’ 제도를 운영 중이다.
소득 기준에 부합할 경우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지원하는 제도로, 올해 대상자는 약 15만 명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고, 신청 과정도 복잡하다는 지적이 지속되고 있다.
서울 강서구에 거주 중인 대학원생 박모 씨는 “소득 기준이 1인 가구 중위소득 60% 이하여야 하는데, 조교 장학금 포함하면 탈락된다”며 “현실에 맞지 않는 기준”이라고 말했다.
주거는 선택이 아니라 기본 조건
전문가들은 청년 주거 불안이 경제적 자립, 출산율, 지역 이동성 등 다양한 사회 지표에 직결되는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유재훈 교수는 “청년층이 도심에 살 수 없게 되면 지역 격차는 더 커지고, 사회 전반의 역동성도 떨어진다”며 “주거는 복지의 핵심 요소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청년 전월세 대출 지원 확대’와 함께 공공임대주택 내 청년 우선 공급 비율을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제도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체감도와 접근성을 높이는 세부 설계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두유의 세상의 모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 평균 근로시간 연평균 근로시간 OECD 5위 (4) | 2025.04.10 |
---|---|
한국 저출산 우리는 왜 아이를 낳지 않게 되었는가 (6) | 2025.04.10 |
한국 경쟁 문화가 치열한 이유 (5) | 2025.04.09 |
대한민국 저출산, 한국은 망했다? 2,400만 유튜버가 말한 원인괴 문제 (8) | 2025.04.09 |
디지털 장의사란? 미래형 서비스 직업 (4)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