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휘발유 자동차 5만킬로가 넘었을 때 체크해야 할 요소들
자동차 주행거리가 5만 킬로미터를 넘기 시작하면, 차량 성능에 미세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이 시점은 정비나 교체가 필요한 주요 부품들이 하나둘 등장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꾸준한 관리만 해도 차량 수명은 오래간다. 5만 킬로미터를 넘겼다면, 아래 요소들을 반드시 점검해보자.
1. 엔진 오일과 오일 필터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항목이다.
일반적으로 5천~1만 킬로마다 교체하지만, 혹시라도 소홀했다면 5만 킬로 시점에서 반드시 점검이 필요하다.
오일 필터 역시 함께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오래된 오일은 엔진 내 마찰을 증가시켜 성능 저하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2. 에어클리너 필터
에어클리너 필터는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5만 킬로가 넘어가면 필터가 오염돼 흡기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흡입 공기가 깨끗해야 연소 효율도 좋아지고, 연비도 향상된다.
교체 주기는 보통 2만~3만 킬로지만, 장거리 운행이 많았다면 교체를 고려해야 한다.
3. 점화 플러그
점화 플러그는 휘발유 차량에서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엔진 내부에서 연료를 점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수명이 다하면 시동이 늦게 걸리거나 연비가 떨어진다.
보통 4만~5만 킬로 전후로 교체가 권장된다.
플러그 교체만으로도 차가 부드럽게 나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4.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상태
브레이크는 안전에 직결되므로 주기적인 확인이 필수다.
5만 킬로 시점이면 적어도 한 번쯤 패드 교체가 필요하다.
패드 마모 한계선에 가까워졌다면 소음이 발생하거나 제동력이 떨어진다.
브레이크 디스크도 함께 점검해야 하며, 깊은 홈이 패였거나 열 변형이 있다면 교체를 고려하자.

5. 냉각수(부동액)
엔진을 식혀주는 냉각수는 대개 3만~5만 킬로 사이에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하다.
오래된 냉각수는 부식 방지 기능이 떨어져 냉각 라인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색이 탁하거나 갈색으로 변했다면 바로 교체해야 한다.
6. 타이어 마모도와 정렬
5만 킬로를 달리는 동안 타이어는 많은 마모가 발생한다.
잔존 트레드 깊이를 체크하고, 편마모가 있다면 휠 얼라인먼트 점검도 함께 진행하자.
마모가 심하면 빗길 제동력도 저하되므로 반드시 교체 시기를 체크할 것.
7. 미션오일(자동변속기 오일)
자동변속기 차량이라면 미션오일 상태도 점검해야 한다.
교체 주기는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4만~6만 킬로 사이에 점검이 권장된다.
오일 상태가 탁하거나 타는 냄새가 나면 즉시 교체해야 변속 충격을 줄일 수 있다.
8. 하부 부싱 및 서스펜션
5만 킬로를 넘기면 차량 하부 부싱류나 서스펜션의 마모도 서서히 시작된다.
주행 중 소음이 늘어나거나 하체 진동이 느껴진다면 정비소에서 하부를 점검받는 것이 좋다.
부싱이나 링크 로드류는 노후되면 소리와 함께 조향에도 영향을 준다.
9. 배터리 상태
자동차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2~3년 수명을 가진다.
5만 킬로 시점에서 교체 시기가 가까워졌을 가능성이 높다.
시동이 약간 늦게 걸리거나 라이트 밝기가 떨어지면 교체를 고려해야 한다.
자동차는 ‘탈 수 있다’와 ‘좋은 상태로 탄다’의 차이가 크다.
5만 킬로는 차량 유지 관리의 첫 번째 고비다.
제때 점검과 교체를 해주면, 앞으로의 10만, 15만 킬로도 문제없이 소화할 수 있다.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을 위해 꼭 체크 리스트를 점검하자.
'두유의 세상의 모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도란? 발급방법 (2) | 2025.04.07 |
---|---|
자동차 정비소에서 호구당하지 않기 불필요한 항목, 알뜰한 정비 (5) | 2025.04.05 |
메가파이어로 진화한 산불 왜 이렇게 많아졌을까? (4) | 2025.04.02 |
길거리 정치 현수막 왜 이렇게 많을까 (4) | 2025.04.01 |
미얀마 7.7 강진 발생, 태국까지 영향…사망자 144명 넘겨 (7)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