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유의 경제적 프리덤

MZ세대 소비 트렌드 2025: 어디에 돈을 쓸까?

낭만두유 2025. 2. 15. 10:40
반응형

MZ세대 소비 트렌드 2025: 어디에 돈을 쓸까?

MZ세대(밀레니얼+Z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다른 소비 패턴을 보이며 가치 중심 소비와 경험을 중요하게 여긴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이들은 전통적인 소비 방식보다 구독 경제, 온라인 콘텐츠, 투자, 자기계발 등에 지출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2025년을 앞두고 MZ세대의 소비 트렌드는 더욱 변화하고 있으며 기업과 투자자들 또한 이들의 소비 성향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

이번 칼럼에서는 MZ세대가 어디에 돈을 쓰고 어떤 소비 패턴을 보이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경험을 사는 MZ세대, 물건보다 감성

MZ세대는 단순한 제품 구매보다 경험을 중요하게 여긴다. 가격 대비 만족도를 의미하는 ‘가심비’(가격+심리적 만족)를 고려한 소비가 핵심이다.

  • 여행 및 체험형 소비 증가: 해외여행뿐만 아니라 호캉스, 캠핑, 글램핑, 트렌디한 맛집 방문 등이 인기
  • 문화 콘텐츠 소비 확장: 콘서트, 전시회, 뮤지컬 등 문화적 경험을 위한 지출 증가
  • 스포츠 & 웰니스 투자: 필라테스, 요가, 헬스 트레이닝과 같은 건강 관련 소비도 증가 추세

이러한 소비 패턴은 ‘SNS 인증 문화’와도 연결된다. 단순히 좋은 경험을 하는 것에서 나아가 그 경험을 타인과 공유하는 과정 자체를 하나의 소비 가치로 인식한다.


디지털 콘텐츠 & 구독 경제 필수 소비 항목

OTT, 음악 스트리밍, 웹툰, 전자책 등 구독형 서비스는 MZ세대의 기본적인 생활 지출로 자리 잡았다.

  • OTT 서비스 다중 구독화: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쿠팡플레이 등 동시에 여러 개를 구독하는 사례 증가
  • 음원 & 오디오 콘텐츠 시장 성장: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뿐만 아니라 오디오북, 팟캐스트 이용률 증가
  • 웹툰·웹소설 소비 지속 증가: 네이버 시리즈, 카카오페이지, 리디북스 등의 유료 구독 사용자 증가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며 구독 기반 서비스의 확장이 눈에 띈다. 기업 입장에서 MZ세대 타겟 마케팅을 위해 구독형 모델을 활용하는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명품보다 스몰 럭셔리 패션·뷰티 소비 변화

MZ세대는 전통적인 명품 소비 대신 스몰 럭셔리(Small Luxury) 개념을 선호한다. 이는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대에서 자신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급 소비를 의미한다.

  • 한정판 스니커즈 & 스트리트 브랜드 인기: 나이키, 아디다스, 뉴발란스 등의 한정판 제품 거래 활성화
  • 맞춤형 뷰티 & 친환경 브랜드 선호: 비건 화장품, 클린 뷰티 제품을 찾는 소비자 증가
  • 소셜 미디어 기반 쇼핑 확대: 인스타그램, 틱톡을 활용한 쇼핑 트렌드 강화

MZ세대의 패션·뷰티 소비는 단순한 유행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윤리적 가치(지속가능성, 친환경 등)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자기계발 & 생산성 투자 소비의 새로운 흐름

MZ세대는 학습과 자기계발을 중요하게 여기며 관련 소비를 아끼지 않는다.

  • 온라인 강의 수강 증가: 클래스101, 인프런, 패스트캠퍼스를 통해 외국어, 코딩, 마케팅, 디자인 등의 스킬을 익힘
  • 생산성 도구 투자 확대: 아이패드, 맥북, 갤럭시탭과 같은 업무·학습용 기기 구매 증가
  • 헬스케어 소비 증가: 헬스장, PT, 필라테스, 요가 등 자기 건강을 위한 투자 확대

MZ세대는 단순히 ‘돈을 쓰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투자’로서 소비를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주식 & 가상자산 투자 소비와 투자의 경계 허물어져

MZ세대는 소비뿐만 아니라 ‘투자’에도 적극적이다. 주식·ETF·가상자산 투자는 MZ세대의 일상적인 경제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 국내외 주식 & ETF 투자 증가: 미국 주식, 기술주 중심의 투자 트렌드 지속
  • 가상자산(암호화폐) 관심 지속: 비트코인,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NFT,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 확대
  • 재테크 콘텐츠 소비 증가: 경제 유튜브, 뉴스레터, 주식 관련 커뮤니티를 통해 투자 정보 습득

MZ세대는 단순한 저축보다 적극적인 자산 증식을 위한 금융 투자를 선호하며 이에 따라 관련 금융 서비스 및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보다 모빌리티 서비스 활용

과거 세대와 달리 MZ세대는 자동차를 소유하기보다는 공유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

  • 카셰어링 & 렌터카 이용 증가: 쏘카, 그린카 등의 단기 렌트 서비스 확대
  • 전동 킥보드 & 공유 자전거 인기: 출퇴근 및 근거리 이동을 위한 전동 모빌리티 수요 증가
  • 대중교통 & 택시 앱 이용 증가: 카카오T, 타다, 우버 등의 플랫폼 활용 증가

이는 자동차 유지비 부담과 더불어 공유 경제에 대한 친숙함이 높은 MZ세대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결과다.


MZ세대의 소비 패턴은 ‘소유’보다는 ‘경험’, ‘가성비’보다는 ‘가심비’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디지털 콘텐츠, 구독 경제, 자기계발, 투자, 모빌리티 서비스 등에 대한 소비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기업들도 이에 맞춘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앞으로도 MZ세대의 소비 트렌드를 이해하고 이에 최적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기업들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MZ세대의 소비 성향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