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기초 재무 용어 정리
1. EPS (주당순이익)란?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줄임말로,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임
공식은 아래와 같음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 수
예를 들어, 회사가 100억 원을 벌었고 주식 수가 1천만 주라면
EPS = 100억 ÷ 1천만 = 1,000원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이며, EPS가 높을수록 투자자에게 좋은 기업이라고 평가됨
또한, PER(주가수익비율)을 계산할 때 꼭 필요한 지표임
2. 손익계산서란?
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이 얼마나 벌었고, 얼마나 썼는지를 기록한 재무제표임
말하자면 기업의 가계부 같은 것임
손익계산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됨
1. 매출액
2. 매출원가
3. 매출총이익
4. 판매비와관리비(판관비)
5. 영업이익
6. 영업외수익/영업외비용
7. 법인세비용
8.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를 보면 기업이 실질적으로 어떤 구조로 돈을 벌고 있는지 알 수 있음
3.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은 기업이 본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을 의미함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비와관리비(판관비)
즉, 제품을 팔고 남은 돈에서 인건비, 마케팅비 등 운영비용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남은 이익임
영업이익이 많다는 건 회사가 자신의 사업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
영업이익은 일회성 수익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이익 구조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됨
4. 당기순이익이란?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모든 비용과 세금을 뺀 후 최종적으로 벌어들인 돈임
가장 ‘순수한’ 이익이라고 볼 수 있음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법인세비용
이 수치를 기준으로 배당금이 결정되며, EPS 계산의 기준도 됨
당기순이익이 꾸준히 늘어난다는 건, 그 회사의 전반적인 경영성과가 좋아지고 있다는 뜻임
5. 매출액이란?
매출액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얻은 총수입을 말함
쉽게 말해, 얼마나 팔았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임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휴대폰을 1조 원어치 팔았다면, 매출액은 1조 원임
매출액은 기업의 외형 성장을 판단할 때 참고함
하지만 매출이 높다고 반드시 이익이 큰 건 아님
그래서 영업이익과 함께 분석해야 함
6. 매출원가란?
매출원가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직접적으로 들어간 비용임
예를 들어
• 원재료비
• 부품비
• 공장 인건비
같은 것들이 여기에 포함됨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이 됨
이 수치가 낮을수록, 즉 제품을 싸게 만들수록 이익이 커짐
7. 판관비(판매비와관리비)란?
판관비는 회사 운영에 들어가는 간접비용임
예를 들어
• 광고비
• 인건비
• 사무실 임대료
• 마케팅비
등이 포함됨
이 비용을 매출총이익에서 빼면 영업이익이 계산됨
판관비가 많다는 건 비용 관리가 안 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함
8. 영업외수익이란?
영업외수익은 기업의 본업이 아닌 활동에서 얻은 수익임
예를 들면
• 이자수익
• 배당수익
• 외화 환차익
• 부동산 매각 이익
이런 수익들은 지속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일회성 수익일 가능성이 있음
그래서 투자자는 영업외수익보다 영업이익을 더 중요하게 여김
9. 영업외비용이란?
영업외비용은 본업 외적인 손실을 말함
예시로는
• 이자비용
• 환차손
• 투자 손실
등이 있음
이 수치가 커지면 당기순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10. PER (주가수익비율)이란?
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의 줄임말로,
현재 주가가 그 회사의 이익에 비해 비싼지 싼지를 판단하는 지표임
PER = 주가 ÷ EPS
PER이 높을수록 시장에서 그 주식이 ‘비싸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임
PER이 낮으면 저평가됐다고 보기도 하지만, 성장성이 낮다는 의미일 수도 있음
11. ROE (자기자본이익률)이란?
ROE는 Return on Equity의 줄임말이며,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냄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ROE가 높을수록, 주주 입장에서 회사가 돈을 잘 굴리고 있다는 의미가 됨
재무 건전성과 수익성 둘 다 나타내는 좋은 지표임
12. PBR (주가순자산비율)이란?
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줄임말이며,
기업의 순자산(자본) 대비 현재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임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PBR이 1보다 낮으면 자산가치보다 저평가됐다고 해석될 수 있음
다만, 업종별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 수치 비교는 주의해야 함
'두유의 경제적 프리덤 >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미국 투자 31조 원 발표 배터리주 반등, ETF시장 급등 (6) | 2025.03.25 |
---|---|
나스닥 주식 좌하향 기업 중 저평가지만 탄탄한 기업 (4) | 2025.03.24 |
주식상식 PER와 ROE이란? 개념알기 (7) | 2025.03.19 |
국내주식 배당금 순위 TOP 10개 기업 분석 (3) | 2025.03.19 |
롯데그룹 부도 위기 짜리시, 원인과 전망 (9)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