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마일리지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대표적인 인기 혜택으로 자리 잡았음 검색량이 전년 대비 무려 41% 증가하며 항공 여행과 관련된 혜택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확인할 수 있었음 무실적 조건은 29% 모든 가맹점 결제 혜택은 15% 검색량 상승을 보이며 실적 부담 없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실용적인 카드가 시장에서 얼마나 매력적인지 보여줬음
이와 관련된 인기 카드로는 ‘삼성카드 & 마일리지 플래티넘(스카이패스)’, ‘우리 카드의정석 에브리마일 스카이패스’ 같은 항공마일리지 카드와 ‘로카 라이킷 1.2’, ‘현대카드 M’ 등 무실적 조건 및 가맹점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들이 많이 검색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복잡한 조건을 제거하고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들이 소비자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음
항공마일리지는 41% 검색 증가로 압도적 관심
대중교통 혜택 카드의 검색량은 정부 교통 지원 상품인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의 등장으로 24% 감소
반면 대중교통 혜택은 인기가 하락했음. 교통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의 검색량이 2023년 대비 24% 감소했으며 이는 정부가 지원하는 교통 관련 상품인 ‘K-패스’, ‘기후동행카드’가 등장하면서 기존 교통카드의 자리를 대체했기 때문으로 해석됨
고승훈 카드고릴라 대표는 “항공마일리지는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온 대표 혜택이며 불확실한 경기 속에서 소비자들은 실적 조건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드를 더 선호하고 있다”며 “대중교통 혜택 카드의 인기는 감소했지만 정부 주도의 교통 지원 패스가 이를 대체하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고 강조했음
이외에도 카드 혜택 트렌드에서 나타난 또 다른 흥미로운 변화는 소비 패턴의 변화였음 교통, 통신, 주유 등의 전통적인 생활 밀착형 혜택이 다소 하락세를 보인 반면 여행, 간편결제, 온라인 쇼핑 등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혜택들이 소비자 관심을 끌고 있음 이는 점점 더 개인화되고 라이프스타일 중심으로 변화하는 금융 시장 트렌드를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음
결국 이번 리포트는 신용카드 시장에서 혜택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소비자들이 어떤 기준으로 카드를 선택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할 수 있음 소비자들이 보다 똑똑한 금융 소비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찾을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음
'두유의 경제적 프리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코인(TRUMP) 출시 새로운 혼란의 암호화폐 시대, 정치와 블록체인의 융합 (36) | 2025.01.24 |
---|---|
“가성비가 대세다” 명품보다 실속 있는 ‘듀프’ 소비가 뜬다 (32) | 2025.01.22 |
IMF 올해 한국 성장률 2% - 내수 부진, 수출 감소, 고용 한파 (5) | 2025.01.19 |
인플레이션 완화 신호: 최근 동향과 전망 (4) | 2025.01.18 |
달러 패권의 위기와 디지털 화폐 - 미래의 변화는 어디로? (3) | 2025.01.17 |